데이터 모델링 & DAP/(Case Study) DAP 실기

(Case Study) IT기술전문학원

ByteCraft 2025. 1. 25. 14:00

1. 요약 (Executive Summary)

IT기술전문학원 업무시나리오를 가지고, DAP 실기 시험 모범답안을 작성해 본다.

해당 업무시나리오는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구축(개정판)" 이춘식, 한빛미디어 2005, 85 Page 참고

DAP 실기 시험 주요내용은 여기를 참고.

 

2. 서론 ( Introduction)

데이터 모델링 대상 업무시나리오는 아래와 같다.

업무시나리오
모델링과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구축을  포함한 IT 기술을 전문적으로 강의하는 우리학원에는
강사가 10명 있으며, 각각의 강사가 담당하는 과목은 한 과목인 강사도 있고, 두 과목 이상 강의하는 강사도 있다.
강사는 반드시 한 과목 이상 강의한다.
학원 과목은 여러 명의 강사가 강의할 수도 있다.
과목에 따라서는 선수 과목을 듣지 않으면 수강할 수 없는 과목도 있다.
선수 과목은 여러 과목이 있을 수 있다.
학원 강의실은 20개가 있으므로 강의 계획을 잘 수립하여야 한다.
한 강의의 수강생은 여러 명일 수 있으며, 만약 수강생이 한 명도 없다면, 강의가 이루어 질 수 없다.
강의가 없는 강의실도 존재할 수 있다. 한 번 수강했던 학생이 다시 수강하면, 기존 등록정보를 활용하면 좋다.
강사는 강사번호로 관리하고, 과목에는 과목 코드가 있다.
강의실마다 강의실 번호가 있으며, 수강생은 주민등록번호로 관리한다.

 

3. 본론 (Main Body)

엔티티 정의서를 작성한다.

엔티티 정의서
엔티티명 : 조사된 엔티티 후보를 기술한다.
엔티티설명 : 엔티티의 의미를 기술한다.
동의어/유의어 : 작업중에 엔티티에서 제거했던 동의어를 기술한다.
엔티티구분 : 엔티티 구분 방법 중 발생 시점에 따라 기본, 중심, 행위로 분류한다.
※산출물 양식은 여기를 참조한다.

 

[ 엔티티정의서 ]

 

논리 데이터 모델을 작성한다.

논리 데이터 모델
논리 데이터 모델은 Barker 표기법( Barker Notation )으로 작성한다.
ERD표기법은 대표적으로 IE표기법과 Barker표기법이 있다.
실기에서 Barker 표기법을 선호하는 이유는 Barker 표기법이 간결해서, IE표기법 보다 30% 정도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 30% 정도의 효율성은 개인적인 선택이고, 느낌이다. 관계도 간결하지만, 특히 슈퍼타입-서브타입에서 그러하다.
IE표기법과 Barker 표기법의 간단한 비교는 아래를 참고한다.
 - Barker 표기법과 IE 표기법
 - ERD 표현법 비교(Barker vs. IE vs. 기타)
 - [Database] Barker(바커) 표기법, I/E 표기법
DAP 실시시험을 대비해서, 손으로 그리는 연습을 한다.

 

1.ERD의 가장 가운데 위치할 Entity를 먼저 그린다.
2. 업무분석 순서에 따라 기본 Entity를 작성한다.(강사, 과목, 강의실)
3. 업무분석 순서에 따라 기본 Entity를 계속 작성한다.(학생)
4. 속성을 작성한다.
5. 관계명을 작성한다.
6. 관계에 따라 FK(Foreign Key)를 속성으로 추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