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모델링 & DAP/(Case Study) DAP 실기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데이터아키텍처 시험주요내용(실기)

ByteCraft 2025. 1. 25. 13:59

 


데이터아키텍처 자격안내

 

1. 주요 내용

논리 데이터 모델 작성

표준화 정의서 작성 : 엔터티 정의, 데이터 표준 정의

 

2. 출제 방향

논리 데이터 모델을 작성하는 영역과 표준화 정의서를 작성하는 영역으로 출제된다.

 

  가. 논리 데이터 모델

  • 논리 데이터 모델은 아래와 같은 2가지 유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제된다.
  • 2가지 유형은 정해진 순서 없이 출제되며 향후 새로운 유형이 추가될 수 있다.
유형 세부내용
유형1 제시된 지문을 분석하여 요구사항에 적합한 엔터티, 관계, 속성, 서브타입 등을 정의하는 방식이다.
업무 내용에 대한 분석 능력과 분석한 업무를 논리 모델상에 표현하는 능력을 검정한다.
유형2 현행 논리모델을 제시하고 개선 요구사항을 지문으로 제시하여 목표 논리모델을 작성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현행 논리모델과 그 모델에 나타난 문제점을 파악하여 지문에서 요구하는
개선 사항을 목표 논리모델로 표현하는 능력을 검정한다.

 

  나. 표준화 정의서

데이터 표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은 2가지 영역으로 출제된다.

영역 구분 세부 내용
영역1 엔터티 정의 제시된 지문을 분석하여 작성한 엔터티를 기술하는 방식이다.
엔터티의 정의를 기술할 때는 데이터 집합의 개요나 성격, 구성상의 특징,
특이사항 등의 관점에서 작성해야 한다.
영역2 데이터 표준 정의 제시된 지문을 분석하여 작성한 논리모델의 단어, 용어, 코드, 도메인 등에 대한
표준을 정의하는 방식이다.
각각의 데이터 표준에 대한 의미와 작성 방법 등을 이해하고 있는지 검정한다.

 

 

3. 고려 사항

제시되는 지문은 A4용지 2~3장 정도의 분량으로 출제되며,

한정된 시험 시간을 고려하여 답안을 작성할 때는 다음 사항에 유의해야 한다.

 

지문의 구성을 이해해야 한다.

지문은 여러 개의 단원으로 구성되며 단원마다 1~2개 정도의 주제를 설명하고 있다. 문제를 풀이할 때에는 단원마다 설명하고 있는 주제의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하며, 내용이 여러 단원에 분산되어 있거나 다른 단원에서 예외적인 사항을 다루어 이들을 모두 연결해야 온전한 하나의 설명이 완성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문제의 제약사항에 주의해야 한다.

문제의 지시사항에는 몇 가지 제약사항이 명시되어 있다. 제시된 제약사항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답안을 작성해야 하며, 제약사항에 위배되는 부분은 감점 요소가 된다.

 

데이터 모델의 표기법을 정확하게 사용해야 한다.

데이터 모델은 바커 표기법 또는 IE 표기법 중 하나의 표기법을 사용하여 작성해야 하며, 표기법을 혼용하여 작성하면 감점 요소가 된다.

 

서브타입 정의에 주의하고 관계명을 반드시 표기해야 한다.

서브타입을 정의할 때는 서브타입이 정확하게 표현되었는지, 서브타입으로 정의해야 할 내용이 누락되지 않았는지 주의해야 한다. 또한 제시된 지문에 따라 엔터티 간의 관계를 정의할 때는 관계를 누락하거나, 관계를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거나, 관계명을 누락하고 관계선만 작성하면 감점 요인이 된다.

 

정규화된 모델이어야 한다.

작성한 데이터 모델이 최소 3차 정규화까지 적용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정규화가 부족한 경우 감점 요인이 된다.

 

문제 전체에서 요구하는 방향을 이해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