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모델링 & DAP/데이터베이스 설계와 구축

Ⅰ.논리설계 > 01. 데이터 모델링 주요 개념

ByteCraft 2025. 1. 25. 13:55

데이터모델링 is...

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어떤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또는 업무에 필요한 정보는 무엇인지 분석하는 방법
- 정보공학(Information Engineering) 관점으로
- 적절한 표기법(Notation)으로 표현

 

엔티티타입(Entity Type)

엔티티타입 is...

업무에 필요하고 유용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영속적으로 존재하는 단위
- 엔티티타입은 엔티티의 집합, 엔티티는 엔티티타입에 속한 인스턴스 하나
- 용어정리 필요.엔티티타입은 Table로, 엔티티는 Table에 속한 하나의 Row. 여기서는 용어를 이러하게 사용하고 있음.

 

엔티티타입 특징

1. 업무에서 필요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정보
2. 유일한 식별자(Unique Identifier)에 의해 식별 가능
3. 영속적으로 존재하는 집합
4. 업무 프로세스에서 반드시 이용해야 한다.
5. 반드시 속성(Attributes)이 포함되어야 한다.
6. 다른 엔티티타입과 최소 한 개 이상의 관계가 있어야 한다.

 

속성(Attribute)

속성 is...

업무에 필요한 엔티티에서 관리하자고 하는, 더 이상 분리되지 않는 최소의 데이터 단위

 

식별자(Identifier)

식별자 is...

각각의 엔티티를 구분할 수 있는 결정자
특징 : 유일하게 구분 되고, 변경하지 않아야 하고, 반드시 값을 가져야 한다.

 

관계(Relationship)

관계 is...

두 개의 엔티티타입 사이의 논리적인 관계
카디낼리티(Cardinality) : 관계에서 참여자의 수를 표현 (1:1, 1:M, M:N 관계)

 

엔티티 슈퍼타입과 서브타입

여러 개의 엔티티타입이 비슷하고, 일부 속성만 다를 경우
비슷한 부분은 묶어 통합하고(슈퍼타입), 다른 부분을 서브타입으로 나누어 표시

 

슈퍼타입-서브타입 바커표기법(Baker Notation) 슈퍼타입-서브타입 IE표기법(Information Engineering)




 

참고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 (DA가이드) 데이터 모델링 표기법 이해

 

서브젝트 에어리어(Subject Area, 주제영역)

연관이 많은 엔티티타입을 묶어 표시

참고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 (DA가이드) 주제 영역 정의

정규화( Normalization)

1차 정규화(1NF) : 복수의 속성값 분리, 속성값은 원자값(Atomic Value)로 구성
2차 정규화(2NF) : 주식별자에 종속적이지 않은 속성 분리
3차 정규화(3NF) : 속성에 종속적인 속성 분리
※NF는 정규형(Normal Form)임.

 

참고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 (DA가이드) 엔터티 상세화

 

ERD 표기법

첫번째. 업무 진행 순서에 따라 왼쪽부터 오른쪽, 위에서 아래로 표시
두번째. 업무 흐름에 중심이 되는 엔티티타입을 중앙에 배치
세번째. 중심이 되는 엔티티타입과 관계있는 엔티티타입을 주위에 배치

 

1. IE 표기법(Information Engineering)
 - IE 표기법은 James Martin의 정보공학 방법론(Information Engineering Methodology)에서 유래되었습니다.
 - 실무에서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 널리 사용되는 표기법 중 하나입니다..
2. Barker 표기법
 - Barker 표기법은 데이터베이스 설계 도구로 유명한 Oracle CASE 도구에서 사용되며,
 - Richard Barker의 방법론에 기반합니다.
 - 속성을 포함한 세부적인 엔터티 구조를 명시하는 데 강점을 가집니다.

 

Key Insights
데이터 모델링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 용어는
 - 엔티티타입 / 속성 / 식별자 / 관계 / 엔티티 슈퍼타입과 서브타입 / 서브젝트 에어리어 / 정규화 / ERD 표기법
DAP 실기 시험을 위해서는 『Barker 표기법』으로 ERD를 작성하는 것이 유리함.